타이탄 II GLV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이탄 II GLV는 미국의 타이탄 II ICBM을 개조하여 제작된 우주 발사체로, 제미니 계획에 사용되었다. 제미니 계획은 2인승 유인 우주선 발사를 목표로 12번의 발사가 모두 성공했다. 타이탄 II GLV는 타이탄 I보다 신뢰성이 높았고, 유인 인증을 위해 몇 가지 수정이 이루어졌다. 발사 과정에서 1단계 산화제 탱크 파열, 터보펌프 기어 박스 문제, 연소 불안정성 등의 문제점이 발견되었지만, 개선을 통해 해결했다. 대한민국은 누리호 개발을 통해 타이탄 II GLV와 유사한 기술을 확보했다. 현재 퇴역한 타이탄 II 미사일과 복제품들이 여러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타이탄 로켓 - 타이탄 IIIC
타이탄 IIIC는 1965년부터 1982년까지 36회 발사되어 31회 성공한 미국 우주 발사체이며, 타이탄 I 미사일을 기반으로 개발되어 대형 고체연료 부스터를 장착했고, 다양한 위성 발사에 사용되었으나 독성 문제와 높은 비용으로 인해 퇴역했다. - 타이탄 로켓 - HGM-25A 타이탄 I
HGM-25A 타이탄 I은 마틴 마리에타가 개발한 미국의 최초 다단계 대륙간 탄도 미사일로, 지하 사일로에 배치되어 냉전 초기 미국의 핵 억지력 강화에 기여했지만, 기술적 문제와 고체 연료 ICBM의 등장으로 짧은 기간 운용된 후 퇴역했다. - 제미니 계획 - 제미니 10호
제미니 10호는 1966년 7월에 발사된 미국의 유인 우주 비행으로, 궤도상 랑데부, 도킹, 우주 유영, 과학 실험을 수행하고 70시간 10분간 비행 후 대서양에 착수했다. - 제미니 계획 - 아제나 표적기
아제나 표적기는 제미니 계획에서 사용된 우주 표적 비행체로, 록히드 항공이 제작한 아제나-D 로켓 상단과 맥도넬 항공의 도킹 어댑터로 구성되어 제미니 우주선과의 랑데부 및 도킹을 위한 목표물 역할을 했다. - 소모성 우주발사체 - 아리안 5
아리안 5는 유럽우주국의 중량급 로켓으로, 다양한 파생 모델을 거쳐 최대 10,500kg의 탑재체를 정지궤도 전이궤도까지 운반하는 ECA 모델이 주력으로 활용되었으나, 아리안 6 개발로 2023년 퇴역하였다. - 소모성 우주발사체 - 새턴 V
새턴 V는 미국의 아폴로 계획과 스카이랩 계획에 사용된 다단식 액체 추진 로켓으로, NASA에 의해 13회 발사되어 인류 최초의 달 착륙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으며, 현재 3기가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타이탄 II GLV | |
---|---|
개요 | |
명칭 | 타이탄 II GLV |
![]() | |
기능 | 유인 우주 비행용 일회용 발사체 |
제조사 | 마틴 |
로켓 정보 | |
단수 | 2단 |
상태 | 퇴역 |
발사장 | 케이프 커내버럴 공군 기지 LC-19 발사대 |
최초 발사 | 1964년 4월 8일 |
마지막 발사 | 1966년 11월 11일 |
총 발사 횟수 | 12회 |
성공 횟수 | 12회 |
탑재체 | 제미니 우주선 |
1단 | |
엔진 | LR-87 2기 |
추력 | 1900kN |
비추력 | 258 초 |
연소 시간 | 156 초 |
연료 | A-50/N2O4 |
2단 | |
엔진 | LR-91 1기 |
추력 | 445kN |
비추력 | 316 초 |
연소 시간 | 180 초 |
연료 | A-50/N2O4 |
상세 정보 | |
기능 (영문) | Human-rated launch vehicle for Gemini spacecraft |
엔진 (영문) | 1 LR87-AJ-7 |
비추력 (영문) | 258 s |
연료 (영문) | Aerozine 50 / N2O4 |
엔진2 (영문) | 1 LR91-AJ-7 |
비추력2 (영문) | 316 s |
연료2 (영문) | Aerozine 50 / N2O4 |
2. 역사
타이탄 II는 미국의 2번째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인 타이탄 I을 개량한 것으로, 이를 다시 우주발사체로 개조한 것이 타이탄 II GLV이다.
제미니 계획은 2인승 유인 우주선 계획으로, '제미니'는 쌍둥이를 의미한다. 총 12번의 발사가 이루어졌으며, 12번 모두 성공했다.
타이탄 II 미사일은 유인 우주선 발사에 사용되기 위해 여러 가지 변경 사항을 거쳤다. 주요 변경 사항으로는 오작동 감지 시스템 설치, 이중화 시스템 구축, 유도 시스템 변경 등이 있었다. 또한, 1단계 및 2단계 엔진과 추진제 탱크에도 여러 수정이 가해졌다. 이러한 수정 작업은 공군 시스템 사령부에서 감독했으며, 타이탄 엔진 제조사인 Aerojet은 1963년 중반에 설계 결함 및 제조 절차 개선을 위한 개정 모델을 출시했다.
개발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발견되었고 해결되었다.
문제점 | 해결 방법 |
---|---|
1단계 터보펌프 기어 박스 고장 (아이들 기어 공진 진동) | Aerojet에서 완전히 재설계된 기어 박스 개발, 제미니 1호를 제외한 모든 제미니 발사체에 사용 |
터보펌프 베어링 문제 | 추가 설계 변경, GLV 부스터에 특별 선정 및 테스트된 베어링 사용 |
2단계 엔진 연소 불안정성 (정적 발사에서만 목격) | 개선된 배플을 가진 새로운 인젝터 개발, 타이탄 IIIC 발사에서 비행 테스트 후 제미니 8호 이후 모든 GLV에 통합 |
추진제 공급 라인 손상 | 모든 GLV 추진제 라인에 X-ray 검사 요구, 잠재적 연료 누출 방지 |
"포고" 현상 (공진 진동) | 산화제 스탠드파이프 추가, 추진제 탱크 압력 증가, 연료 흡입 측에 기계적 축압기 추가 |
"그린 맨" 현상 (2단계 엔진 차단 후 순간 피치 진동) | 제미니 우주선에 큰 위협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 별도 조치 없음 |
제미니 10호와 제미니 12호 발사에서 1단계 산화제 탱크 파열이 발생했지만, NASA는 우주 비행사에게 안전 위험을 초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문제로 간주하지 않았다.[2]
2. 1. 타이탄 II 미사일에서의 변경 사항
타이탄 II 미사일에 유인 인증을 위해 적용된 주요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다.- 오작동 감지 시스템: 로켓의 상태를 승무원에게 알리고 비상시 대응을 개선하기 위해 "제미니 오작동 감지 시스템"이 설치되었다.
- 이중화 시스템: 발사 실패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이중화 시스템이 설치되었다.
- 유도 시스템: 관성 유도 시스템이 더 가벼운 지상 무선 유도 시스템으로 대체되었다.
- 항공 전자 장치 트러스: 2단계 항공 전자 장치 트러스가 약간 수정되었다.
- 백업 유도 시스템: 유도 오작동으로 인해 엔진 노즐이 과도하게 움직일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해 추가 백업 유도 시스템이 추가되었다.
- 2단계 추진제 탱크: 더 긴 연소 시간을 위해 2단계 추진제 탱크가 길어졌으며, 불필요한 버니어 추력기와 감속 로켓이 제거되었다. 2단계 엔진에는 연소 불안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배플형 인젝터가 장착되었다.
- 1단계 추진제: 1단계에는 타이탄 ICBM보다 약 5896.70kg 더 많은 추진제가 채워졌지만, 저장 탱크 크기는 변경되지 않았다.
- 추적, 전기, 유압 시스템: 신뢰성 향상을 위해 추적, 전기 및 유압 시스템에 수정이 이루어졌다.
- 추진제 냉각: 차량 성능을 약간 향상시키기 위해 추진제가 냉각되었다.
- 1단계 엔진 추력: 진동 및 G 하중을 줄이기 위해 1단계 엔진 추력이 약간 감소했다.
- 1단계 엔진 연소: 추진제 소진 시까지 1단계 엔진 연소가 지속되도록 설계되었다. 이는 오작동 압력 센서로 인한 중단 가능성을 방지하고 탑재량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조치였다.
이러한 수정 작업은 공군 시스템 사령부에서 감독했으며, 타이탄 엔진 제조사인 Aerojet은 1963년 중반에 설계 결함 및 제조 절차 개선을 위한 개정 모델을 출시했다.
제미니 10호 발사 영상에서는 1단계 산화제 탱크가 단계 분리 직후 파열되어 N2O4 구름을 방출하는 모습이 확인되었다. 1단계 원격 측정 데이터는 단계 분리 시점에서 종료되었기 때문에, 사진 및 시각적 증거 외에는 다른 데이터가 없었다. 그러나 느슨한 파편이 산화제 탱크 돔을 쳤거나 2단계 엔진의 배기가스가 돔을 태웠을 것이라는 결론이 내려졌다.[1]
제미니 12호 발사체에서도 단계 분리 후 탱크 파열이 발생했으며, 타이탄 II ICBM 발사 영상 검토 결과 이러한 현상이 여러 번 발생했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NASA는 이것이 우주 비행사에게 안전 위험을 초래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문제로 간주하지 않았다.[2]
타이탄 II ICBM 개발 과정에서 1단계 터보펌프 기어 박스에 아이들 기어 공진 진동으로 인한 고장 가능성이 발견되었다. 이 문제는 실제 발사에서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정적 발사 시험에서만 발생했다. Aerojet은 완전히 재설계된 기어 박스를 개발했으며, 무인 제미니 1호를 제외한 모든 제미니 발사체에 이 기어 박스가 사용되었다.[3]
터보펌프 베어링에도 잠재적인 문제가 있어 추가적인 설계 변경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GLV 부스터는 특별히 선정되고 테스트된 베어링을 사용하고, 터보펌프가 사전 발사 점검의 일부로 "핫 발사"될 예정이었기 때문에 제미니 발사에서 고장날 가능성은 거의 없었다.[4]
2단계 엔진의 연소 불안정성 역시 우려 사항이었으나, 이 또한 정적 발사에서만 관찰되었다. 개선된 배플을 가진 새로운 인젝터가 개발되어 타이탄 IIIC 발사에서 비행 테스트를 거쳤으며, 제미니 8호 이후 모든 GLV에 통합되었다.[5]
타이탄 II 추진제 공급 라인에서 공장 검사 중 약간의 손상이 발견된 후, NASA는 모든 GLV 추진제 라인에 대해 발사 중 잠재적인 연료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X-ray 검사를 요구했다. X-ray 검사 결과 여러 개의 손상된 추진제 라인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부주의한 취급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6]
타이탄 II의 유인 인증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포고"(Pogo, 포고 스틱과 유사한 움직임에서 유래)라고 알려진 공진 진동 문제였다. 이 문제는 우주 비행사를 무력화할 수 있는 충분한 g-force를 생성할 수 있었다.[7] 그러나 공군은 ICBM 프로그램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NASA를 돕는 데 소극적이었다. 반면 Martin-Marietta는 포고 문제를 비교적 쉽게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했으며, 공군도 유인 궤도 실험실 프로그램 때문에 타이탄 II 유인 인증에 더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포고 문제 해결을 위해 산화제 스탠드파이프 추가, 추진제 탱크 압력 증가, 연료 흡입 측에 기계적 축압기 추가 등의 변경이 이루어졌다.
제미니 프로그램 동안 발생한 또 다른 문제는 "그린 맨"이라는 코드명으로 불린 현상으로, 타이탄 2단계 엔진 차단 후 순간적인 피치 진동과 관련이 있었다. 이 현상은 제미니 발사 및 무인 타이탄 II/III 비행 모두에서 발생했으며, 2단계 삭마 스커트가 최소 두 번 실패하는 결과를 초래했다("브라운 맨"으로 불림). 타이탄 IIIC 발사 시 스커트 실패 후 조사 결과, 삭마 스커트 내 압력 축적이 피치 진동을 유발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NASA는 스커트 파편이 제미니 우주선에 접촉할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판단하여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또한 타이탄 IIIC 사고는 제미니 프로그램의 엄격한 감독과는 달리 부실한 품질 관리 결과로 밝혀졌다.[8]
이 로켓들은 볼티모어, 메릴랜드에 있는 Martin-Marietta 공장에서 조립되었다. 이는 덴버, 콜로라도의 미사일 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고, 이전 공장의 계획된 폐쇄를 막기 위한 조치였다. 머큐리-아틀라스 발사체와 마찬가지로, 무인 비행용 타이탄에 비해 더 높은 수준의 기술, 철저한 테스트, 향상된 취급 절차가 강조되었다.
2. 2. 개발 과정의 문제점 및 해결
타이탄 II 미사일은 유인 인증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수정 작업을 거쳤다.- 로켓의 상태를 승무원에게 알리고 비상시 대응을 개선하기 위해 "제미니 오작동 감지 시스템"이 설치되었다.
- 발사 실패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이중화 시스템이 설치되었다.
- 관성 유도 시스템은 더 가벼운 지상 무선 유도 시스템으로 대체되었다.
- 2단계 항공 전자 장치 트러스가 약간 수정되었다.
- 유도 오작동으로 인해 엔진 노즐이 심하게 움직일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해 백업 유도 시스템이 추가되었다.
- 2단계 추진제 탱크는 더 긴 연소 시간을 위해 길어졌으며 불필요한 버니어 추력기와 감속 로켓이 제거되었다. 2단계 엔진에는 연소 불안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배플형 인젝터가 장착되었다.
- 1단계에는 타이탄 ICBM보다 약 5896.70kg 더 많은 추진제가 채워졌지만 저장 탱크 크기는 변경되지 않았다.
- 개선된 신뢰성을 위해 추적, 전기 및 유압 시스템에 수정이 이루어졌다.
- 차량 성능을 약간 향상시키기 위해 추진제가 냉각되었다.
- 1단계 엔진 추력은 진동 및 G 하중을 줄이기 위해 약간 감소했다.
- 타이탄 ICBM과 달리 추진제가 소진될 때까지 1단계 엔진 연소가 지속되었다.
공군 시스템 사령부에서 수정 작업을 감독했으며, 타이탄 엔진 제조업체인 Aerojet 회사는 1963년 중반에 설계 결함 및 제조 절차 개선을 시도한 개정 모델을 출시했다.
개발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발견되었고 해결되었다.
문제점 | 해결 방법 |
---|---|
1단계 터보펌프 기어 박스 고장 (아이들 기어 공진 진동) | Aerojet에서 완전히 재설계된 기어 박스 개발, 제미니 1호를 제외한 모든 제미니 발사체에 사용 |
터보펌프 베어링 문제 | 추가 설계 변경, GLV 부스터에 특별 선정 및 테스트된 베어링 사용 |
2단계 엔진 연소 불안정성 (정적 발사에서만 목격) | 개선된 배플을 가진 새로운 인젝터 개발, 타이탄 IIIC 발사에서 비행 테스트 후 제미니 8호 이후 모든 GLV에 통합 |
추진제 공급 라인 손상 | 모든 GLV 추진제 라인에 X-ray 검사 요구, 잠재적 연료 누출 방지 |
"포고" 현상 (공진 진동) | 산화제 스탠드파이프 추가, 추진제 탱크 압력 증가, 연료 흡입 측에 기계적 축압기 추가 |
"그린 맨" 현상 (2단계 엔진 차단 후 순간 피치 진동) | 제미니 우주선에 큰 위협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 별도 조치 없음 |
제미니 10호와 제미니 12호 발사에서 1단계 산화제 탱크 파열이 발생했지만, NASA는 우주 비행사에게 안전 위험을 초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문제로 간주하지 않았다.
3. 발사 기록
타이탄 II는 새턴 V보다 추력 대 중량비가 훨씬 높았다. 우주 비행사들은 약 160.93km 고도에서 2단 로켓 작동이 멈추기 전에 거의 6G의 가속도를 경험했다. 리처드 F. 고든 주니어는 타이탄 II를 "젊은 전투기 조종사가 타는 것"에 비유하며, "새턴은 노인이 타는 것보다 더 빠르다"고 말했다.[7] 프랭크 보먼은 시뮬레이션이 "거의 귀가 먹먹할 정도의" 소리에 대비시키지 못했으며, 이는 제트기의 애프터버너나 대형 기차와 같다고 말했다. 월터 시라와 고든 쿠퍼는 탑승감이 아틀라스보다 더 부드러웠다고 보고했다.[7]임무 발사체 일련 번호 발사일 승무원 GT-1 GLV-1 12556 1964년 4월 8일 무인 궤도 시험 비행 GT-2 GLV-2 12557 1965년 1월 19일 무인 준궤도 제미니 열 보호막 시험 GT-3 GLV-3 12558 1965년 3월 23일 거스 그리섬과 존 영 GT-IV GLV-4 12559 1965년 6월 3일 제임스 맥디빗과 에드 화이트 GT-V GLV-5 12560 1965년 8월 21일 고든 쿠퍼와 피트 콘래드 GT-VII GLV-7 12562 1965년 12월 4일 프랭크 보먼과 짐 러블 GT-VI A GLV-6 12561 1965년 12월 15일 월리 시라와 토머스 P. 스태퍼드 GT-VIII GLV-8 12563 1966년 3월 16일 닐 암스트롱과 데이비드 스콧 GT-IX A GLV-9 12564 1966년 6월 3일 토머스 P. 스태퍼드와 유진 서넌 GT-X GLV-10 12565 1966년 7월 18일 존 영과 마이클 콜린스 GT-XI GLV-11 12566 1966년 9월 12일 피트 콘래드와 리처드 F. 고든 GT-XII GLV-12 12567 1966년 11월 11일 짐 러블과 에드윈 "버즈" 올드린
3. 1. 발사 목록
임무 | 발사체 일련 번호 | 발사일 | 승무원 |
---|---|---|---|
GT-1 | GLV-1 12556 | 1964년 4월 8일 | 무인 궤도 시험 비행 |
GT-2 | GLV-2 12557 | 1965년 1월 19일 | 무인 준궤도 제미니 열 보호막 시험 |
GT-3 | GLV-3 12558 | 1965년 3월 23일 | 거스 그리섬과 존 영 |
GT-IV | GLV-4 12559 | 1965년 6월 3일 | 제임스 맥디빗과 에드 화이트 |
GT-V | GLV-5 12560 | 1965년 8월 21일 | 고든 쿠퍼와 피트 콘래드 |
GT-VII | GLV-7 12562 | 1965년 12월 4일 | 프랭크 보먼과 짐 러블 |
GT-VI A | GLV-6 12561 | 1965년 12월 15일 | 월리 시라와 토머스 P. 스태퍼드 |
GT-VIII | GLV-8 12563 | 1966년 3월 16일 | 닐 암스트롱과 데이비드 스콧 |
GT-IX A | GLV-9 12564 | 1966년 6월 3일 | 토머스 P. 스태퍼드와 유진 서넌 |
GT-X | GLV-10 12565 | 1966년 7월 18일 | 존 영과 마이클 콜린스 |
GT-XI | GLV-11 12566 | 1966년 9월 12일 | 피트 콘래드와 리처드 F. 고든 |
GT-XII | GLV-12 12567 | 1966년 11월 11일 | 짐 러블과 에드윈 "버즈" 올드린 |
타이탄 II는 새턴 V보다 추력 대 중량비가 훨씬 높았다. 우주 비행사들은 약 160.93km 고도에서 2단 로켓 작동이 멈추기 전에 거의 6G의 가속도를 경험했다. 리처드 F. 고든 주니어는 타이탄 II를 "젊은 전투기 조종사가 타는 것과 같다. 새턴은 노인이 타는 것보다 더 빠르다."라고 비유했다. 프랭크 보먼은 시뮬레이션이 "거의 귀가 먹먹할 정도의" 소리에 대비시키지 못했으며, 이는 제트기의 애프터버너나 대형 기차와 같다고 말했다. 월터 시라와 고든 쿠퍼는 탑승감이 아틀라스보다 더 부드러웠다고 보고했다.[7]
3. 2. 발사체 성능 평가 (우주비행사 관점)
타이탄 II는 새턴 V보다 추력 대 중량비가 훨씬 높았다. 우주 비행사들은 약 160.93km 고도에서 2단 로켓 작동이 멈추기 전에 거의 6G의 가속도를 경험했다. 리처드 F. 고든 주니어는 타이탄 II를 "젊은 전투기 조종사가 타는 것"에 비유하며, "새턴의 노인이 타는 것보다 더 빠르다"고 말했다.[7]
프랭크 보먼은 시뮬레이션이 "거의 귀가 먹먹할 정도의" 소리에 대비시키지 못했으며, 이는 제트기의 애프터버너나 대형 기차와 같다고 말했다. 월터 시라와 고든 쿠퍼는 탑승감이 아틀라스보다 더 부드러웠다고 보고했다.[7]
4. 대한민국과의 연관성
미국은 머큐리 계획을 통해 30톤 머큐리-레드스톤 로켓으로 1.83톤 1인승 유인우주선을 발사했다. 한국의 52톤 누리호 시험발사체는 "한국판 머큐리 로켓"이라고 할 수 있다.
미국은 제미니 계획을 통해 152톤 제미니 로켓으로 3.2톤 2인승 유인우주선을 12회 발사했다. 한국의 200톤 누리호는 "한국판 제미니 로켓"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 항우연은 계획이 없는데, 누리호 1단을 2개로 묶으면 8톤 3인승 유인우주선을 발사할 수 있다. "한국판 소유즈 로켓"이라고 할 수 있다. 러시아는 소유즈 로켓을 1966년부터 2018년까지 52년 동안 사용 중이다.
5. 전시
퇴역한 타이탄 II 미사일 2기가 제미니 발사체로 재도색되어 전시되어 있으며, 몇몇 복제품도 함께 전시되어 있다.
위치 | 내용 |
---|---|
케네디 우주 센터 로켓 정원 | 퇴역한 타이탄 II 미사일, GLV-3 12558 (제미니 3)로 재도색[8] |
스태포드 항공우주 박물관 | 퇴역한 타이탄 II 미사일, GLV-9 12564 (제미니 9A)로 재도색[9] |
뉴욕 과학관, 코로나 공원, 뉴욕 | 1964년 뉴욕 세계 박람회를 위해 제작된 제미니-타이탄 II 실물 크기 복제품[10] |
캔자스 코스모스피어 및 우주 센터 | 실물 크기 복제품[11] |
파르케 데 라스 시엔시아스 루이스 A. 페레, 바야몬, 푸에르토리코 | 복제품[12] |
존슨 우주 센터 | 2010년에 케네디 우주 센터 로켓 정원에서 이전된 타이탄 I 1단계 로켓으로 제작된 모형[14] |
참조
[1]
서적
Manned Spacecraft
MacMillan
[2]
서적
History of liquid propellant rocket engines
https://www.worldcat[...]
American Institute of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2006
[3]
웹사이트
Aerojet-General LR87 Liquid Rocket
http://www.nationalm[...]
2010-12-25
[4]
간행물
Simplicity, Duplication Will Give Titan 2 Manned Flight Capability
Aviation Week & Space Technology
1962-09-03
[5]
문서
Hacker and Grimwood, p. 105
[6]
웹사이트
New Image - ONLY - Scan to PDF
https://ntrs.nasa.go[...]
2018-10-13
[7]
간행물
Riding the Titan II
https://www.airspace[...]
1998-09
[8]
웹사이트
Gemini-Titan Rocket Rises Again at Kennedy Space Center
https://www.space.co[...]
2023-09-20
[9]
웹사이트
A Field Guide to American Spacecraft
http://www.americans[...]
2023-09-20
[10]
웹사이트
A Field Guide to American Spacecraft
http://www.americans[...]
2023-09-20
[11]
웹사이트
A Field Guide to American Spacecraft {{!}} KCSC Gemini-Titan
http://www.americans[...]
2023-09-20
[12]
웹사이트
A Field Guide to American Spacecraft
http://www.americans[...]
2023-09-20
[13]
웹사이트
A Field Guide to American Spacecraft
http://americanspace[...]
2023-09-20
[14]
웹사이트
Rare rocket delivery: Gemini-Titan display arrives in Houston {{!}} collectSPACE
http://www.collectsp[...]
2023-09-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